본문 바로가기
건강

핫팩 때문에 불이 날수도 있다고? (안전하게 버리는 법)

by 귀또리1 2023. 12. 8.
목차
1. 핫팩의 원리
2. 핫팩 과연 안전할까
3. 핫팩 고르는 법, 사용법, 버리는 법

 

 

핫팩

 

 

핫팩의 원리

일회용 핫팩은 부직포 주머니 안에 철 가루, 활성탄, 소금, 물 등이 들어 있습니다.  핫팩을 흔들거나 주무르면 철가루가 공기와 접촉하면서 산화 반응을 일으키고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입니다. 산화 반응은 철과 산소가 결합하여 산화철을 만드는 과정으로 이때 1g, 당 1.69kcal의 열이 방출됩니다. 핫팩 안에 있는 활성탄, 소금, 물 등은 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여 핫팩이 더 빠르고 오래 따뜻해지도록 도와줍니다. 

 

핫팩 과연 안전할까

1. 철가루가 미치는 영향

핫팩의 철가루는 공기와 접촉하면서 산화 반응을 일으키고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때 철가루는 산화철로 변하게 되는데요. 산화철을  흡입하거나 피부 접촉을 통해 흡수하면 피부 자극과 호흡곤란, 철폐증 등 호흡기 , 순환기 질환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2. 저온화상 위험

저온 화상이란 핫팩이나 온열기구 등의 저온 열원에 피부가 장시간 노출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말합니다. 저온 화상은 뜨겁지 않은 온도이기 때문에 통증이 적어 화상을 입었다는 것을 인지하기 어렵고 피부 속 깊은 부분까지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저온 화상은 1도에서 4도까지의 정도로 나눌 수 있으며 피부가 붉어지고 물집이 생기거나 피부가 괴사 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핫팩 화재

핫팩은 최고 온도가 높아봐야 70도이기 때문에 화재가 날 가능성은 적습니다. 그러나 인화성 물질 주변에 두거나, 손 소독제 근처에 있고 밀폐된 공간에 있는 경우에는 드물게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알코올, 아세톤, 기름 등 주변에 두지 않고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4. 핫팩 가루를 먹었을 경우

핫팩을 아기나 반려견이 먹었을 경우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발작, 혈변, 호흡곤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먹은 양과 시간에 따라 증상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빨리 병원에 내원해야 합니다. 위세척을 진행하고 나서도  철가루가 남아 있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합니다. 

 

핫팩 고르는 법, 사용법, 버리는 법

1. 고르는 법

  • 지속 시간을 확인합니다. 보통12시간 내외인 것들이 많은데 금방 식지 않고 오래 유지되는 핫팩은 18시간을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핫팩의 포장재와 내용물을 확인합니다. 핫팩의 포장재는 비닐과 부직포로 되어 있어 철가루가 쉽게 빠져나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철가루의 양이 많고 미세한 것이 열량이 높고 지속시간이 깁니다. 
  • 핫팩의 중량을 확인합니다. 보통 150g 이상의 핫팩이 24시간 유지되는 핫팩입니다.

 

2. 사용법, 주의사항

  • 핫팩의 최고 온도는 60~70도 이기 때문에 피부에 붙이지 않고 옷이나 장갑 등으로 감싸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핫팩을 너무 주무르면 포장재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핫팩을 음주 후에 사용하거나 환자나 노인이 사용하는 경우 저온 화상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버리는 법

 핫팩이 뜨거울때 종량제 봉투에 넣는 것은 위험합니다. 핫팩이 뜨거울때 종량제 봉투에 넣으면 종량제 봉투가 녹거나 구멍이 날 수 있습니다. 또한 핫팩이 주변을 너무 건조하게 만들어 정전기가 잘 발생하거나 인화성 물질이 노출되어 화재가 날 수도 있습니다. 
핫팩을 그늘진 곳에 놓고 자연스럽게 식히게 둡니다. 이렇게 하루만  식히면 더 이상 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식은 핫팩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립니다. 

 

 

 

https://rami7.tistory.com/entry/%EC%9E%85%EC%95%88%ED%95%98%EC%96%80%EB%A7%89

 

입안의 하얀막, 하얀 껍질이 생기는 이유

목차 1. 자연스러운 현상 2. 하얀막을 예방하는 방법 3. 하얀막과 함께 통증이 동반 된다면 자연스러운 현상 1. 하얀 막이 생기는 가장 흔한 원인은 입안의 상피세포(상피세포는 우리의 몸 표면이

rami7.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