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김치에 핀 하얀, 분홍, 푸른, 검은 곰팡이(골마지)

by 귀또리1 2023. 12. 2.
목차
1. 김치의 하얀 곰팡이(골마지)
2. 김치의 분홍, 푸른, 검은곰팡이
3. 김치의 군내

 

 

 

김치의 상태를 잘 살펴보세요

 

 

 

김치의 하얀 곰팡이(골마지)

골마지는 김치나 간장, 고추장 등 발효 식품의 표면에 생기는 하얀색 막을 말합니다.  곰팡이처럼 보이지만 독성이 없어서 인체에는 무해합니다.

 

김치 골마지 사진 바로 보기

 

1. 골마지가 생기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 김치의 표면이 산소와 접촉 하고  효모가 산화되면 골마지가 생깁니다. 
  • 김치의 수분이 증발하면 표면이 건조해지는데 효모가 골마지를 만들어서 수분을 보호하려고 합니다. 
  • 김치의 온도가 높거나 낮으면 효모의 활동이 변하면서 골마지가 생깁니다. 
  • 김치가 너무 오래되면 골마지가 잘 생깁니다.

2. 골마지가 생긴 김치는 이렇게 변합니다. 

골마지가 생기면 김치의 맛이나 식감이 안 좋아집니다. 골마지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김치의 신맛이 감소하고 물러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찐득하고 끈적한 느낌이 있어서 김치의 식감도 떨어 뜨립니다. 골마지가 생긴 부분은 제거하거나 물로 씻은 후에 볶아 드셔야 합니다. 

 

3. 골마지를 예방하는 방법

  • 맨 윗면이 공기에 닿지 않도록 김치의 겉잎을 덮습니다. 비닐은 환경 호르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자제하세요.
  • 김치는 김치 냉장고에 보관하시고 온도는 4~10도를 유지시켜 줍니다. 
  • 이미 골마지가 생겼다면 더 번지지 않도록 골마지를 걷어내고  표면에 물기가 없도록 닦아줍니다.

4. 골마지 핀 김치로 만드는 요리

골마지 핀 김치는 씻은 뒤 가열해 주어야 합니다. 골마지는 독성은 없으나 골마지를 씻지 않고 생으로 먹으면 끈적끈적한 식감이 그대로 느껴지기도 하고 너무 많은 효소가 몸으로 들어오면서 소화불량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되도록 이면 씻은 다음 끓여서 드세요. 김치찌개, 김치볶음밥, 김치 콩나물국, 김치전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김치의 분홍, 푸른, 검은곰팡이

김치의 분홍 곰팡이는 김치에 피는 곰팡이 중의 하나입니다. 이 곰팡이는 김치의 표면에 산화된 철분이나 비타민 B12와 반응해서 분홍색이나 보라색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이 곰팡이는 골마지와 달리 독성이 있어서 먹으면 안 됩니다.

 

김치의 푸른곰팡이나 검은곰팡이는 절대 드시면 안 됩니다. 이런 색의 곰팡이는 김치가 부패했다는 증거이고 곰팡이 독소를 생성합니다. 

 

곰팡이 독소는 간, 신장, 뇌, 심장 등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곰팡이 독소는 가열을 하더라도 파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절대  드시면 안됩니다. 

 

김치의 군내

군내는 김치가 제대로 발효되지 못하면 나는 냄새입니다. 김치 숙성을 돕는 젖산균보다 부패를 일으키는 일반 세균이 늘어나면 쿰쿰한 냄새가 납니다. 

 

1. 군내를 예방하는 방법

  • 김치를 잘 밀봉하고 냉장 보관한다.
  • 김치의 국물이 적으면 군내가 나기 쉽니다. 국물이 적절하게 있도록 조절한다. 
  • 김치를 담금 때 젓갈이나 찹쌀풀을 너무 많이 넣으면 군내가 나므로 적당한 양을 넣어야 한다.
  • 절임 배추, 원료 상태가 좋지 않으면 군내가 나므로 원료는 신선한 것을 고른다.

2. 군내 나는 김치  처리법

  • 끓인 물에 식초를 조금 넣고 식힌 다음 김치에 붓고 3일 정도 두면 군내가 사라집니다.
  • 김치를 찬물에 씻고 설탕과 기름을 넣고 볶으면 냄새가 줄어듭니다. 

 

 

 

뉴스기사 바로가기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3022701863

 

김치에 핀 '곰팡이'는 그냥 먹어도 된다?

김치에 핀 '초록' '파랑' '검정' '흰색' 곰팡이… 먹어도 될까?

m.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