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125

이런 쌀은 먹지 말자!(훈증처리) 목차 1. 훈증처리가 뭐지? 2. 훈증처리 한 쌀 구분법 3. 훈증 처리하지 않은 쌀의 보관법 4. 좋은 쌀 고르는 법 훈증처리가 뭐지? 쌀벌레(바구미)는 15도 이상의 온도와 습한 환경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28도 이상에서는 기하급수적으로 번식합니다. 쌀벌레는 쌀알 속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서 알을 낳으므로 쌀을 수확하거나 도정할 때 쌀벌레의 알이 섞일 수 있습니다. 쌀 바구미 이미지 바로가기 훈증처리란 살균가스를 뿌려 쌀에 붙어있는 미생물이나 해충을 죽이는 방법입니다. 훈증처리를 하면 쌀의 수분량을 줄여서 쌀밥이 더 고소해진다고 하는데 훈증처리에 쓰이는 가스 중에는 에피흄이라는 맹독성 가스가 있습니다. 이 가스는 인화수소를 발생시켜 사람이나 동물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에피흄은 휘발성이 .. 2023. 12. 10.
핫팩 때문에 불이 날수도 있다고? (안전하게 버리는 법) 목차 1. 핫팩의 원리 2. 핫팩 과연 안전할까 3. 핫팩 고르는 법, 사용법, 버리는 법 핫팩의 원리 일회용 핫팩은 부직포 주머니 안에 철 가루, 활성탄, 소금, 물 등이 들어 있습니다. 핫팩을 흔들거나 주무르면 철가루가 공기와 접촉하면서 산화 반응을 일으키고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입니다. 산화 반응은 철과 산소가 결합하여 산화철을 만드는 과정으로 이때 1g, 당 1.69kcal의 열이 방출됩니다. 핫팩 안에 있는 활성탄, 소금, 물 등은 산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여 핫팩이 더 빠르고 오래 따뜻해지도록 도와줍니다. 핫팩 과연 안전할까 1. 철가루가 미치는 영향 핫팩의 철가루는 공기와 접촉하면서 산화 반응을 일으키고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때 철가루는 산화철로 변하게 되는데요. 산화철을 흡입하거나 피.. 2023. 12. 8.
김치에 핀 하얀, 분홍, 푸른, 검은 곰팡이(골마지) 목차 1. 김치의 하얀 곰팡이(골마지) 2. 김치의 분홍, 푸른, 검은곰팡이 3. 김치의 군내 김치의 하얀 곰팡이(골마지) 골마지는 김치나 간장, 고추장 등 발효 식품의 표면에 생기는 하얀색 막을 말합니다. 곰팡이처럼 보이지만 독성이 없어서 인체에는 무해합니다. 김치 골마지 사진 바로 보기 1. 골마지가 생기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김치의 표면이 산소와 접촉 하고 효모가 산화되면 골마지가 생깁니다. 김치의 수분이 증발하면 표면이 건조해지는데 효모가 골마지를 만들어서 수분을 보호하려고 합니다. 김치의 온도가 높거나 낮으면 효모의 활동이 변하면서 골마지가 생깁니다. 김치가 너무 오래되면 골마지가 잘 생깁니다. 2. 골마지가 생긴 김치는 이렇게 변합니다. 골마지가 생기면 김치의 맛이나 식감이 안 좋아집니다. 골.. 2023. 12. 2.
싹난 고구마, 까만 고구마, 초록 고구마 목차 1. 싹 난 고구마 먹어도 될까? 2. 까만 고구마 먹어도 될까? 3. 초록 고구마 먹어도 될까? 4. 쓴만 나는 고구마 먹어도 될까? 5. 고구마 고르는 법, 보관법 싹 난 고구마 먹어도 될까? 감자와 고구마는 모두 구황작물이지만 싹이 나면 감자는 독성이 있고 고구마는 독성이 없습니다. 고구마는 감자와 달리 솔라닌이라는 독성 성분을 생성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고구마 싹은 영양 섭취에 더 좋습니다. 고구마 싹에는 고구마순에 들어있는 항산화 물질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루테인, 베타카로틴, 안토시아닌 등의 영양소가 있습니다. 이러한 영양소들은 항염증, 항당뇨, 시력 보호, 피부 건강 등에 도움을 줍니다. 다만 싹이 나면 내부의 녹말이 없어지고 섬유질이 많아져서 식감이 질겨지고 딱딱해집니다. 또한 싹.. 2023.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