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림TIP

멸균팩, 우유팩은 종이류가 아님. 이렇게 해주세요.

by 귀또리1 2023. 12. 27.

 

목차
1. 멸균팩, 우유팩은 종이류가 아닙니다. 
2. 멸균팩, 우유팩이 제대로 재활용된다면
3. 2021년 12월부터 종이팩 분리배출 시범사업
4. 멸균팩, 우유팩 재활용 제대로 하려면 준비해 주세요
5. 멸균팩, 우유팩 어디에 가져가야?

 

멸균팩에 재활용이 어렵다고 써져 있네요

 

멸균팩, 우유팩은 종이류가 아닙니다. 

 멸균팩은 종이 양면에 폴리에틸렌(PE) 코팅과 알루미늄 코팅이 되어 있어 일반 종이보다 분해에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고 알루미늄 입자가 펄프에 박히면 상풍성을 떨어뜨리는 등  재활용 공정에 방해가 됩니다. 

우유팩 또한 종이 양면에 폴리에틸렌(PE) 코팅이 되어 있어 일반 종이와 성분이 다릅니다. 

 

폐지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해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요. 사용한 종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물과 약품에 섞어 작은 섬유입자로 풀어주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 멸균팩, 우유팩이 들어가게 되면 일반 종이보다 분해에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멸균팩과 종이팩은 재활용 공정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 종이와 분리 배출해야 합니다. 

 

멸균팩, 우유팩이 제대로 재활용된다면

1. 나무 보호

멸균팩과 우유팩을 100% 재활용하면 1년에 20년생 나무 130만 그루를 심는 효과가 있습니다. 

2. 원료 절감

멸균팩과 우유팩을 재활용하면 원료 절감 효과도 320억 원에 달합니다. 

3. 환경보호

멸균팩과 우유팩을 재활용하면 쓰레기 매립지의 부담을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4. 훌륭한 재활용 자원

멸균팩은 핸드타월로 우유팩은 두루마리 휴지로 재활용됩니다. 멸균팩과 우유팩은 사람이 마시는 음료를 담기 때문에 최고급 펄프를 사용하므로  분리만 잘한다면 훌륭한 재활용 자원이 됩니다. 

 

2021년 12월부터 종이팩 분리배출 시범사업

멸균팩과 우유팩은 일반 종이류와 분리해서 배출해야 재활용이 가능한데요. 이를 위해 환경부는 2021년 12월부터 종이팩 분리배출 시범사업을 시작했어요. 이 사업은 일부 지자체의 공동주택에서 일반팩과 멸균팩을 구분해 투입할 수 있는 종이팩 전용수거함을 설치하고 분리 배출된 종이팩을 재활용하는 방식입니다. 환경부는 이 사업을 통해 올바른 종이팩 회수 및 재활용 체계를 구축하고 내년 하반기부터 전국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멸균팩, 우유팩 재활용 제대로 하려면 준비해 주세요

1. 멸균팩과 우유팩 안의 내용물을 모두 비우고 물로 헹궈줍니다. 

2. 멸균팩과 우유팩의 가장자리를 잘라서 한 장으로 납작하게 펴 줍니다. 

3. 펼친 멸균팩과 우유팩을 말려서 일반 종이와 구분하여 분리 배출합니다. 

 

멸균팩, 우유팩 어디에 가져가야?

1. 행정복지센터(동사무소)에 가져가면 친환경화장지나 새 건전지로 교환해 줍니다. 

필자가 필자의 주민센터에 문의해 보았습니다. 멸균팩, 우유팩 0.5kg당 휴지 1 롤로 바꿔준다고 하네요. 최대 5kg, 즉 휴지 10개까지 교환해 준다고 합니다. 동사무소마다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동네에 전화해서 문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우리 동네 동사무소 연락처 찾기

 

2. 한살림 매장에 가져가면 포인트로 적립해 줍니다. 필자의 동네에는 안타깝게도 한살림이 없습니다. 

3. 닥터주부 앱에 가입하고 택배로 보내면 포인트로 적립해 줍니다. 

https://www.drjuvu.com/

 

그고라 - 친환경 챌린지 쇼핑몰(그린고라운드)

그고라 - 친환경 챌린지 쇼핑몰(그린고라운드)

greengoround.com

 

4. 제로 웨이스트 숍이나 생활 협동조합에 가져가면 휴지나 생필품으로 교환해 줍니다. 

제로띵스, 덕분애, 알행상점, 가치가게등이 제로웨이스트 숍입니다. 

 

필자의 생각

솔직히 멸균팩, 우유팩을 모아서 따로 가져가야 한다는 게 보통 귀찮은 일이 아닙니다. 우유팩과 멸균팩을 따로 모아놓는 일도 귀찮은 일이기도 합니다. 

가장 좋은 것은 각자 생활권 재활용장에서 멸균팩, 우유팩을 따로 모아서 수거해 가는 것입니다. 그러나 21년에 시행된 시범 사업은 지지부진하기만 합니다. 

 

또한 24년도부터는 멸균팩에 '재활용 어려움'표시가 되고 있어 이걸 본 소비자는 재활용 자체가 안될거라고 오해를 할 수도 있는 안타까운 상황입니다. 

 

개인의 양심에 맡기지만 말고 정부 차원의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기를 바라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