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봄, 가을은 구충제를 먹어야 하는 시기입니다.

by 귀또리1 2023. 10. 24.
목차
1. 구충제를 먹어야 하는 이유 
2. 반려 동물 구충제도 잊지 마세요
3. 구충제를 먹어야 하는 시기
4. 구충제종류
5. 구충제 부작용
6. 구충제는 보조제일뿐

 

구충제
알벤다졸

 

구충제를 먹어야 하는 이유 

구충제는 기생충에 감염되어 몸에 피해를 주는 것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복용하는 약입니다. 기생충은 사람의 몸속에서 피나 영양분을 빨아먹거나 장벽을 파괴하거나 염증을 일으키는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생충 감염은 증상이 없거나 경미할 수 있어서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기생충은 몸속에서 오랫동안 살아가면서 점차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촌충은 혈액으로 기생하기 때문에 철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혈액 수치도 낮아집니다. 혈액 수치가 낮아지면 눈이나 피부색이 창백해지고 심장 박동수가 높아지고  피로나 가파른 호흡, 어지러움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촌충 이미지 바로가기

 

요충은 장에서 서식하고 항문 주변 피부에 알을 낳습니다. 요충은 보통 아이들이 많이 감염됩니다. 요충에 감염되면 항문 주위가 가렵고 여아의 경우 질 주변도 가렵습니다.

요충에 감염되면 요충 알이 장에서 부화하고 성장하며 약 2~6주 후에 성충이 되어 항문으로부터 나와 다시 알을 낳는데 이 과정에서 항문 가려움증을 유발합니다. 이때 손으로 긁게 되면 다른 사람이나 물건에 전파될 수 있습니다

 

요충 이미지 바로가기

 

회충은 요충과 거의 비슷하나 다른 점은  소장에서 부화한 유충이 혈액을 타고 폐로 이동해 성장하고 다 크면 식도를 통해서 다시 소장으로 돌아옵니다. 그리고 소장에서 교미하고 다시 알을 낳습니다. 

 

회충 이미지 바로가기

 

반려 동물 구충제도 잊지 마세요

반려동물의 기생충도 사람의 몸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의 배설물이나 털에 붙은 기생충 알을 손으로 만진 후 입을 만지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은 정기적으로 구충제를 복용하고 예방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반려동물과 접촉한 후에는 손을 깨끗하게 씻고, 청결한 손으로 음식을 조리해야 합니다. 

또한 반려동물과 뽀뽀하기, 핥기, 음식을 나눠먹는 등의 행동을 자제해야 합니다. 

 

구충제를 먹어야 하는 시기

구충제는 일반적으로 봄과 가을에 6개월마다 한 번씩 복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 시기가 기생충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고 감염되기도 쉽기 때문입니다. 

생선회를 많이 먹었거나 육회등의 날 고기를 먹었거나 유기농 채소를 먹었거나, 동남아시아등 위생이 좋지 않은 국가의 여행을 다녀온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구충제를 복용합니다. 

만약 평소 날고기나 회를 자주 드신다면 2~3개월에 한번 드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구충제종류

1. 알벤다졸 - 회충, 요충, 편충, 십이지장충 등에 효과

  • 1일 1회 1정을 먹고 일주일 후에 1정을 먹어야 박멸됩니다.
  • 임산부나 수유부, 2세 미만의 소아는 복용 불가합니다.  
  • 복통이나 구역질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플루벤다졸 - 회충, 요충, 편충, 십이지장충 등에 효과

  • 1일 1회 500mg을 복용
  • 1세 이상의 소아와 성인에게 투여 가능
  • 젤콤정이나 젤콘현탁액 등의 상품으로 판매중
  • 복통, 구역, 구토, 피부발진, 두드러기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프라지콴텔 - 일반적인 구충제로 치료되지 않는 어패류나 덜 익힌 육류에 의한 흡충과 조충 감염에 사용

  • 프라지콴텔은 기생충의 세포막에서 칼슘 이온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기생충의 조직을 수축시키고 마비를 일으켜 살충하는 원리입니다. 
  • 흡충은 주로 익히지 않은 어패류나 민물고기로 감염됩니다. 
  • 조충은 익히지 않은 돼지고기나 소고로 인해 감염됩니다. 
  • 1일 1회 1정을 먹고 일주일 후에 나머지 1정을 먹어야 박멸됩니다. 

구충제를 일주일 뒤에 또 먹어야 하는 경우는 요충에 감염되었을 때입니다. 구충제를 복용하면 성충은 죽지만 알은 살아남습니다. 그래서 일주일 후에 부화한 유충을 없애기 위해 한번 더 복용합니다.

 

구충제의 가격은 보통 1통에 2정씩 들어 있는 약이 1,000원~1,500원 정도인데요. 이 정도 약을 일 년에 1~2회 정도 복용하니 저렴한 편입니다. 

 

구충제 부작용

구충제를 복용할 때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충제는 기생충의 에너지를 고갈시키거나 마비시켜 배출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복통이나 구토, 설사 등의 위장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피부 발진, 두드러기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구충제는 보조제일뿐

구충제는 간단하고 저렴하게 기생충 감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구충제만으로는 완전한 박멸이 어렵기 때문에 기생충 감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음식을 잘 씻고 조리하고 손을 자주 씻고 반려동물의 구충도 정기적으로 해주는 등의 위생 관리가 필요합니다. 

  • 손을 자주 씻기
  • 의복, 침구, 수건 등을 자주 세탁하기
  • 매일 샤워하기
  • 긁지 않기

 

독감 예방주사 바로가기

https://rami7.tistory.com/entry/%EB%8F%85%EA%B0%90%EC%98%88%EB%B0%A9%EC%A3%BC%EC%82%AC

 

독감 예방 주사 맞았더니 오히려 독감 걸림. 뭐지?

목차 1. 독감 백신의 유형을 결정하는 사람들 2. 독감 걸리고 안 걸리고 복불복인 이유 3. 백신에 예방 바이러스를 다 집어넣으면 되잖아? 4. 꼭 맞아야 한다면 3가? 4가? 5. 독감 예방 주사를 꼭 맞

rami7.tistory.com